예전부터 gateway라는 단어를 듣다보면 L4/L7 도 많이 들어봤는데.. 네트워크 관련 일을 하는게 아니다 보니 뭔가 라우팅을 해주는건가??? 하고 막연하게 생각했었다. 최근 갑자기 궁금해져서 검색을 해보니 잘 정리한 내용이 있어 굳이 정리하기 보다 링크를 걸었다.
단순하게 이해하면 숫자가 높아질수록 좀 더 정교하게 로드밸런싱을 할 수 있는 것 같다. L4는 TCP/UDP 기반으로만 라우팅이 가능하고, L7는 http/https 레벨에서 로드밸런싱이 가능한 것 같다.
L4/L7 로드밸런싱 쉽게 이해하기
이번 문서 'L4/L7 로드밸런싱 쉽게 이해하기'와 '서버 부하 분산 쉽게 이해하기', 'L4 스위치 쉽게 이해하기'는 L4/L7 Network Swtich인 'F5 Networks' 장비를 기준으로 설명합니다. Alteon(Radware), Brocade, Ci..
aws-hyoh.tistory.com
이제 클라우드로 넘어가면 azure (azure load balancer, azure applicaton gateway)와 aws(aws elastic load balancer ALB/NLB/CLB)에서 각각 특화된 gateway 가 언제 쓰이게 되는지 좀 더 명확히 이해할 수 있겠다.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파이썬] 주식 자동 매매 시스템 구현 #5 - 종목 정보 가져오기 (0) | 2022.03.22 |
---|---|
맥북 특정 포트 사용 여부 확인 및 Kill (0) | 2022.03.21 |
[파이썬] 주식 자동 매매 시스템 구현 #4 - 로그인 정보 가져오기 (0) | 2022.03.21 |
[파이썬] 주식 자동 매매 시스템 구현 #3 - 시스템트레이딩 프로젝트 생성 및 키움증권 로그인 (2) | 2022.03.21 |
[파이썬] 주식 자동 매매 시스템 구현 #2 - 키움 증권 API 활용 환경 구성 (0) | 2022.03.16 |